CPU는 싱글 코어에서 가상 듀얼 코어 코어 두 개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듀얼코어로 그리고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듀얼코어와 4개의 코어를 가진 쿼드까지 발전했고 조만간 개인용 PC에도 8개의 코어가 들어간 CPU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한다.
이제 모두들 쿼드가 좋다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그 가격이 만만치 않기에 쉽게 선택하기가 힘들고 PC방 에서는 초기 창업 시 선택하지 않는다면 업그레이드 시 고려하기란 정말 목돈이 들기에 CPU 선택 대상에서 쿼드는 제외 되곤 했었지만 이제는 고민좀 해야 할 것 같다 이번에 인텔에서 최신 45nm 공정을 적용한 보급형 Q8200을 공격적으로 판매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일단 스펙부터 살펴보자
CPU |
Core2Duo E7300 |
Core2Duo E8400 |
Core2Quad Q8200 |
Core2Quad Q9400 |
동작속도(Ghz) |
2.66 |
3 |
2.33 |
2.66 |
FSB |
1066 |
1333 |
1333 |
1333 |
코어네임 |
울프데일 |
울프데일 |
요크필드 |
요크필드 |
코어형태 |
듀얼 |
듀얼 |
쿼드 |
쿼드 |
캐쉬 메모리 |
3M 12way |
6M 24way |
2X2M |
2x3M |
시장가격(만) |
15.3 |
24.2 |
25.6 |
39.5 |
동작 속도는 위에 비교 표에서와 같이 제일 낮다. 그리고 같은 8xxx대 듀얼코어는 캐쉬가 6M를 지니고 있지만 Q8200은 2 x 2로 합이 4M다. 과연 작동 속도도 낮고 캐쉬 메모리도 뭔가 모자라는 느낌인데 과연 실제 성능은 어떨지 게임들로써 테스트를 진행했다.
비교 PC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INTEL E7300 테스트 사양 |
INTEL Q8200 테스트 사양 |
메인보드: INTEL DP43TF (P43+ICH10) |
메인보드: INTEL DP43TF (P43+ICH10) |
RAM: 삼성 DDR2 6400 1G *2 |
RAM: 삼성 DDR2 6400 1G *2 |
VGA : ATI HD 4850 512M DDR3 |
VGA : ATI HD 4850 512M DDR3 |
운영 체계는 윈도우 XP 서비스팩 3버전이다
일단 기본적인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3D MARK 06으로 테스를 했다.
(테스트는 기본 옵션에 해상도는 모두 1024*768로 진행했다)
3D MARK 06 |
|
|
|
|
모델명 |
SM 2.0 |
HDR/3.0 |
CPU |
총점 |
E7300 |
4988 |
6093 |
2452 |
11650 |
Q8200 |
4998 |
6163 |
4240 |
13829 |
그래픽 카드의 능력을 테스트 하는데 주로 쓰이는 프로그램이지만 같은 사양에 CPU만 교체한 후 CPU점수 위주로 보면 CPU 능력에 대한 검증도 가능하다. 3D MARK 06 의 버그를 수정한 최신 패치와 핫픽스를 모두 설치한후에 테스트한 결과로 그래픽 능력은 엇비슷하게 나왔지만 CPU 능력은 2.66Ghz의 작동속도를 가진 E7300보다 2.33Ghz의 속도를 가진 Q8200이 거의 두배 가까운 점수를 받았다.
Lost Planet |
|
|
모델명 |
테스트 수치 | |
E7300 |
64 | |
Q8200 |
96 |
로스트 플래닛 다이렉트X 9.0 버전의 퍼포먼스 테스트 점수의 평균값이다.
50% 정도의 프레임 향샹이 있었다. 이는 그래픽 카드에서 많은 그래픽 처리를 해준다고 하더라도 아직은 CPU의존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언리얼토너먼트 |
|
|
모델명 |
테스트 수치 | |
E7300 |
62 | |
Q8200 |
62 |
3D 테스트의 대표적인 언리얼 토너먼트다. 저번 테스트때에도 모두 같은 점수를 받았다. 아무래도 이제는 PC 사양들이 높다보니 언리얼 토너먼트의 플레이가 아무런 무리가 없어진 구형이 되어 버린 느낌이다. 어쨌든 이번 점수는 동점.
데빌 메이 크라이4 |
|
|
모델명 |
테스트 수치 | |
E7300 |
116 | |
Q8200 |
214 |
화려한 그래픽을 자랑하는 데빌메이 크라이 4 PC판이다. 이 게임 역시 퍼포먼스 테스트가 따로 있다.
4단계 테스트를 진행하고 간 단계별 점수가 나온다. 여기서 밝히는 점수는 각 단계별 점수의 평균값이다 이번에도 점수가 약 50% 정도 향상되어 나타났다.
더욱이 갑자기 몬스터가 늘어나거나 사물이 바뀌는 곳에서도 갑작스러운 프레임 하락이 없고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어 쿼드 코어의 진가를 느낄 수 있었다.
A.V.A |
|
|
모델명 |
테스트수치 | |
E7300 |
134 | |
Q8200 |
198 |
피망에서 서비스 하고 있는 아바 온라인이다 테스트의 진행은 연습방을 개설하고 같은 시간에 같은 구역을 이동하고 같은 행동을 취하는 식으로 진행했다.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멀티 플레이로 진행 하게 되면 각기 다른 행동을 취할 수 밖에 없고 그럼 테스트 비교가 안되기 때문에 취한 조치이다. 각각 3번씩 플레이하고 평균값을 낸 수치며 옵션은 아바 실행시 PC사양에 맞게 자동 설정해 주는 그대로의 상태로 테스트 했다.
이번 테스트에서도 두가지 사양 모두 플레이 하는데 지장이 없고 렉 현상도 없었지만 수치는 Q8200의 압승이다. 테스트는 연습모드였지만 실전에서의 저 점수 차이라면 중요한 순간, 혼잡한 순간, 난전이 된 상황에서는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nc소프트의 아이온(AION)도 필자가 각각 약 6시간 이상씩 2일에 걸쳐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 테스트는 필자 혼자만 한 것이 아니라 지인의 PC방에 설치해 놓고 두 가지 사양에서 모두 플레이한 손님에게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를 물어보았다.
(필자를 제외한 손님들은 두 PC의 사양을 모르는 상태로 진행했다)
손님들과 필자에 느낌은 두가지 사양 모두 아이온을 즐기기에는 무리가 없었으나 Q8200이 부드럽고 사람 많은 곳에서도 원활했으며 어비스전(공성전 같은 시스템)에서는 그 차이를 확실히 느낄 수 있었다고 했다.
필자를 포함하여 총 4사람이 플레이를 하였고 서버, 종족, 캐릭터 직업, 레벨등이 제각각이였기 때문에 충분한 테스트가 되었으리라 판단된다. 쿼드코어의 진정한 힘은 복잡하고 힘든 작업일수록 그 힘을 발휘 하는 것 같았다.
고 사양을 요구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나 게임에서는 듀얼 코어와의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작동 속도가 높은 제품이 유리하지만, 프로그램이 크고 복잡하며 많은 일을 해야 한다면 쿼드코어가 유리하다는 것이다. 대표 적인 게임으로는 아이온, 프리우스, WOW가 있으며 그래픽이 화려하면 화려할수록,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용량이 크면 클수록 그 정도는 심해진다.
가격도 Q6600보다 저렴하게 유통 되기 시작했고 E8400정도를 생각했던 유저라면 Q8200을 욕심내 보는 것이 향후를 생각 해보았을 때 더 유리한 판단이 된다.
이번에도 테스트 후기를 올려 드립니다 ^^;
본문 내용에도 있지만 아무래도 클럭이 낮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퍼포먼스를 보여줄 것인지에 대해
반신 반의 하면서 테스트 진행을 시작했었는데 역시나 썩어도 준치라고 쿼드는 쿼드였습니다.
45nm 공정이라 fsb도 1333이고 발열도 낮았습니다.
Q6600은 높은 전력 사용량과 발열도 무시할 수준은 아니였습니다. 이럴경우 혹사 할수도 있는
게임방에서는 케이스, 쿨러, 통풍을 고려한 케스 위치까지 생각하지 않을수 없는데 45nm 공정으로
제작된 Q8200은 낮은 전력 사용량, 적은 발열로 깔끔한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아이온 테스트 관련해서는 보통 사양을 알려주지 않는 이상 차이가 확 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테스트 인원 전원이 차이가 확실히 난다고 하였다는 점이 이채로웠습니다.
(이제것 다른 제품들 테스트시에는 조금 좋은것 같은데 잘 모르겠다가 많았습니다)
아직 cpu가 제손에 있어 이것 저것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현재는 오바클럭 테스트중 ^^v
오버클럭이라는 것은 메인보드와 메모리, cpu간의 수율 문제도 있기 때문에 확실히 된다. 안된다가
아니기 때문에 그저 참고 사항으로만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최고 부팅 가능 클럭은 3.15Ghz까지 부팅이 가능했습니다 (약 35% 오버클럭)
다만 1일정도 사용후 다음번에 부팅 불가로 재 세팅을 하는수 밖에 없었습니다.
현재 3.03Ghz 오버클럭으로 (30%) 실 사용중입니다. 45nm로 제작된 cpu의 공통점이기도 하지만
오버 수율이 좋고, 발열이 적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제가 말하는 오버 클럭은 극한의 오버 클럭이 아닙니다. 기본 정품 쿨러로 사용 가능한 오버클럭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질소냉각 쿨러 시스템에 전압 조정하고 한다면 더 올리수는 있겠지요 ^^)
제 테스트 후기는 언제나 열려 있습니다. 보시다가 문의점, 문제점은 언제나 글 남겨 주세요
답변 꼭 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