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수 681

배우 정진영(50)은 살갑고 다정했다. 영화 '왕의 남자' '이태원 살인사건' '7번방의 선물' 등 작품을 통해 쌓아온 과묵함이나 카리스마 넘치는 진지한 인물과는 거리가 있다. "그동안 제작자나 관객들이 나에게 딱딱한 역할을 기대했나 보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영화 '찌라시: 위험한 소문'(감독 김광식)은 기회였다. 기자 출신으로 아픔을 간직한 '지라시' 유통업자 '박 사장'을 연기했다. 아픔은 있지만 밝고 유쾌하며 의리의 인물이다. 매니저 '우곤'(김강우)이 지라시의 실체를 파헤치는 동안 옆에서 조력자가 돼 준다. '센 이미지'를 죽이기 위해 살도 8㎏이나 찌우면서 준비했다.
"4년 진행했던 '그것이 알고 싶다'의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하차했다. 그만둔 지 8년이나 됐는데 아직 따라붙는 걸 보면 원래 말랑말랑한 인상이 아닌가 보다"며 웃었다. 그러면서도 "이번 작품은 부드럽고 가벼운 인물이다. 나는 안 해봤던 연기라 재미있었는데 관객들은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다"고 기대했다.
영화는 증권가 정보지(지라시)로 인해 여배우가 죽음을 맞이하면서 시작된다. 그녀의 신인 시절부터 함께해 온 매니저 우곤이 거대권력을 상대로 지라시의 실체를 파헤치는 이야기다. '도가니' '부러진 화살'같은 정통적인 사회고발 영화는 아니다. 오락성이 강하며 웃음을 통해 가볍게 풀어낸다.
정진영은 "제목만 보고 자극적이고 사회비판적 이야기를 원하는 관객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우리 영화는 그런 영화는 아니다. 한 사회에서 큰 권력을 가진 집단에 개인이 영향력을 발휘해 진실을 파헤치며 도전하는 낯익은 이야기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상황들을 통쾌하게 승리로 이끄는 현대사회의 변조된 히어로물"이라고 설명했다.
'블록버스터'라고도 표현했다. "세운상가, 충무로 인쇄 골목 등 재개발 안 된 건물들에서 촬영을 많이 했다. 낡고 세련되지 못한 배경은 영화의 거대권력이 가진 골프장과 번쩍이는 사무실과 비교된다. 힘없는 매니저가 그들과 싸우니 블록버스터다. '세운상가 블록버스터'라고 표현해야겠다"며 즐거워했다.
영화의 70% 이상은 김 감독의 철저한 고증에서 비롯됐다. 대기업, 청와대, 해결사 등이 개입된 지라시의 유통과정에도 어느 정도 현실이 반영됐다. "우리 영화는 실제를 인정하고 정당화하는 용도로 만들어진 게 아니다. 극화한 게 많은 재미있는 오락영화"라면서도 "내 생각에는 현실에서도 거대권력이 개입되고 있는 것 같다"고 봤다.
"연예인을 쥐락펴락하는 실체가 존재하는 것 같다. 스마트폰 등 정보 채널들이 많아졌다. 스마트폰이 없던 시절에는 정보를 전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제는 쉽게 유통되고 그대로 믿어버리게 된다. 사실도 아닌 지라시에 넘어가는 사람들도 많다. 반대로 채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정보의 조작과 가공이 쉬운 사회가 돼 버렸다. 무서운 세상"이라며 한숨을 쉬었다.
어느덧 쉰을 넘어섰다. 연극으로 연기를 시작한 지 스물다섯 해가 지났다. 1998년 첫 영화 출연 이후만 해도 16년이다. 이름만으로 신뢰를 주는 배우가 됐다. "해가 지나도 연기에 대한 욕심은 줄지가 않는다. 오래 했으면 더 잘해야지. 일이라는 건 긴장 속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긴장을 놓치는 순간 이상해진다. 앞으로도 긴장하며 더 연기를 잘하는 배우가 되고 싶다."
"예전에는 연기하기 위해 연구했는데 이제는 감정과 경험의 데이터들이 차곡차곡 쌓였어요. 나이를 더 먹으면 연기는 더 재미있겠죠. 작품이 줄어드는 건 감수해야 하겠지만, 이렇게 연기를 할 수 있다는 게 고마운 일이에요."
정진영은 '지라시: 위험한 소문' 개봉 전부터 SBS TV 드라마 '엔젤아이즈' 촬영에 들어갔다. "인연이 닿는 데까지 연기를 하고 싶다"는 천상배우다.
saint@thegamenews.com